동아시아 문화의 중심지였던 백제의 우수한 예술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백제를 대표하는 “진묘수와 정림 사지 5층 석탑”을 아이콘으로 선택, 친근하게 대중들에게 접근
돌 조각상이 가지고 있는 투박함을 살려 최소한의 선과 면으로 표현. 페스티벌 행사에 참여하는 가족 및 아이들을 타깃으로 친근하고 귀여운 일러스트로 표현. 트렌드 색인 노랑, 민트, 핑크를 사용해 현대적인 디자인 감성 표현
과거와 현재를 이어가는 보존과 복구에 의미를 두는 컨셉으로 라인과 면을 이용하여 심플하게 그리고 채워짐과 비워짐으로 석탑을 복구하는 것을 표현. 색은 짙은 파랑,다홍 그리고 민트로 한국전통적이면서도 현대적인 색으로 디자인 감성 표현
백제의 강력한 아이덴티티인 정림사지, 공산성 등의 유물뿐만 아니라 ‘백제문화제’라는 축제 자체를 작품에 담고자 했으며, 축제장을 즐기는 모습들이 가득 담긴 메인이미지와 더불어 메인 이미지 속 요소들을 활용한 관광기념품 탄생
앞면 뒷면이라는 구분을 주지 않고 양쪽 면 각각 다른 느낌을 주기 위해,진묘수는 레이아웃을 다르게 표현. 귀엽고 친근한 느낌을 위해 민트와 레몬색의 조합으로 표현. 정림사지 5층 석탑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콘셉트를 라인과 면을 이용하여 심플하게 배경색의 대비로 표현함
에코백의 천색으로 회색과 아이보리, 두 가지 옵션을 주고 백제를 대표하는 아이콘으로 선택한 진묘수와 정림사지 5층 석탑을 천과 대비되어 어우러지는 핑크와 민트로 포인트를 줌
앞면 뒷면이라는 구분을 주지 않고 양쪽 면 각각 다른 느낌을 주기위해, 진묘수는 레이아웃을 다르게 표현. 귀엽고 친근한 느낌을 위해 민트와 레몬색의 조합으로 표현. 정림사지 5층 석탑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콘셉트를 라인과 면을 이용하여 심플하게 배경색의 대비로 표현함
전체적인 비례와 색조합을 맞추기 위해 백제문화제와 백제기악 미마지탈, 왕과 왕비의 소스를 활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파스텔톤 퍼플컬러를 외곽라인으로 사용함으로써, 정돈된 느낌을 살림
위에서부터 웅진판타지아, 백제왕과 왕비, 백제유적지, 백제기악 미마지탈과 같은 백제 문화제 메인 프로그램과 백제문화의 주 요소들의 조합을 활용하여 디자인함
문화재 소스를 활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정림사지 5층 석탑의 낮 풍경, 공산성의 밤 풍경을 색채를 통해 구현함. 은은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 와펜 뱃지는 파스텔톤으로 연출하였으며, 라인의 두께를 다르게하여 자칫 지루해 보일 수 있는 디자인에 포인트를 줌
정림사지 5층 석탑, 공산성을 낮과 밤의 컨셉에 맞춰 디자인함. 정림사지 5층석탑과 연꽃의 배치를 통해 은은함을 연출하였으며, 옐로우 계열의 파스텔톤 컬러조합을 사용함. 또한 공산성은 밤의 화려함이라는 컨셉으로 디자인하였으며, 퍼플 컬러의 조합과 핑크를 포인트로 사용하여 화려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디자인함
낮에 신나게 노는 백제기악 미마지탈’, ‘백제와당과 밤’이라는 컨셉으로 디자인함. 컬러톤의 대비를 통해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함
백제기악 미마지탈 3인방의 얼굴을 작가만의 스타일로 재해석하여 축제의 전체적인 분위기와 부합하도록 알록달록한 색감을 활용하여 디자인
정림사지 5층 석탑, 공산성을 낮과 밤의 컨셉에 맞춰 디자인함. 정림사지 5층 석탑과 연꽃의 배치를 통해 은은함을 연출하였으며, 옐로우 계열의 파스텔톤 컬러조합을 사용함. 또한 공산성은 밤의 화려함이라는 컨셉으로 디자인하였으며, 퍼플 컬러의 조합과 핑크를 포인트로 사용하여 화려한 분위기가 연출되도록 디자인함
인테리어 소품이라는 품목에 맞게 화려한 이미지나 색채를 사용하지 않고, 어느 공간에나 어우러질 수 있도록 파스텔톤의 색감을 사용하였으며, 최대한 심플하게 디자인함
벽에 걸어두고 싶은 디자인을 위해 잔잔한 풍경과 지도 이미지로 연출하였으며, 공주·부여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와 금강 위로 로맨틱하게 물든 석양, 백제의 고즈넉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함